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스쿼트 중 어지러움이 발생하는 이유는?

by 피트센스 주인장 2025. 4. 14.
728x90
반응형

스쿼트 하다가 어지러웠던 경험 있으신가요?

스쿼트는 하체 근육뿐 아니라 전신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복합 운동입니다. 그런데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스쿼트를 하다가 갑자기 머리가 띵하거나 눈앞이 하얘지는 어지러움을 경험한 적이 많다고 합니다.
더 나아가 가슴이 답답하거나 순간적으로 식은땀이 나는 증상까지 동반되면 당황할 수 밖에 없죠.

대부분은 '체력이 약해서','운동을 너무 강하게 해서'라고 대충 넘어가는 경우가 많지만, 운동생리학적인 관점에서는 이 현상이 복합적인 신체 반응의 결과일 수 있습니다.
특히, 혈압의 급격한 변화, 복합 상승, 자율신경계의 일시적 교란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어지러움이 나타날 수 있으며, 잘못 대처하면 운동 중 실신이나 부상으로 이어질 위험도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스쿼트 동작 시 왜 어지러움이 발생하는지를 운동생리학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예방 방법과 회복 전략까지 함께 알려드리겠습니다.


원인 ⓐ : 복압 상승은 협압 급등을 불러온다

스쿼트를 제대로 하려면 상체를 단단히 고정하고 코어에 힘을 줘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대부분의 사람은 '복압'을 의도적으로 높이게 되는데, 이 때 복부와 가슴 안의 압력을 상승하면서 정맥혈이 심장으로 돌아오는 양이 일시적으로 줄어듭니다.

운동생리학적으로는 이 호흡을 "발살바 메뉴버(Valsalva Maneuver)" 라고 하며, 무거운 중량을 들 때 자주 나타나는 호흡 형태입니다.

이때, 혈압은 일시적으로 수축기 혈압 200mmHg  이상까지도 상승할 수 있고, 복압 상승으로 인해 심장에서 뇌로 가는 혈류량이 순간적으로 제한되며 뇌에 산소 공급이 부족해져 어지러움이나 눈앞이 흐려지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원인 ⓑ : 일어날 때 일어나는 '기립성 저혈압'

스쿼트는 앉았다가 일어나는 움직임을 반복합니다. 그런데 운동 중 또는 세트가 끝난 직후, 몸을 갑자기 일으켰을 때 기립성 저혈압( Orthostatic Hypotension)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정상적인 상황에서는 자율신경계가 자세 변화에 따라 혈업을 조절하지만 다양한 조건에 따라 생길 수 있습니다.

● 탈수
● 저혈당
● 피로 누적
● 휴식 없는 연속된 세트 진행 등

뇌로 가는 혈류가 순간적으로 부족해지면서 어지러움이나 현기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운동생리학에서는 이를 '자율신경계의 지연된 반응(delayde baroreflex response)'으로 해석되며, 특히 장시간 앉아서 운동하거나 무거운 중량을 다룬 뒤 자세를 급격히 바꿀 경우 더 흔하게 발생합니다.


원인 ⓒ : 과호흡과 호흡 멈춤으로 인한 일시적 산소 부족

스쿼트를 할 때 많은 사람들이 호흡을 멈춘 채 힘을 주는 습관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건 어느 정도 복압 유지에 도움이 되지만, 호흡을 과하게 억제하면 뇌에 공급하는 산소량이 떨어져 저산소 상태(hypoxia)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너무 빠른 속도로 과호흡하면 이산화탄소가 과도하게 배출되어 뇌혈관이 수축되어 혈류가 제한되기도 합니다.
이럴 경우에는 어지러움, 현기증, 손발 저림 등 나타날 수 있습니다.

즉, 호흡을 어떻게 하느냐가 뇌혈류와 자율신경계 안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핵심요인입니다.

 


⚠️ 이런 증상은 주의가 필요합니다.

일시적인 어지러움은 누구에게나 나타날 수 있지만, 다음과 같은 증상이 동반된다면 반드시 운동을 중단하고 휴식을 취해야 합니다.

⚠️ 스쿼트 중 시야가 흐려지거나 흰 점이 보일 때
⚠️ 세트가 끝난 후에도 5분 이상 어지러움이 지속 될 때
⚠️ 가슴 두근거림, 숨 가쁨, 식은 땀 동반될 때
⚠️ 갑자기 앉거나 누워야 할 만큼 현기증이 강할 때

이런 증상은 자율신경계가 과부하 상태이거나, 순환계 반응이 비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다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어지러움을 예방하는 대처법

✅ 호흡은 '리듬 있게'

무거운 중량을 들더라도 호흡을 완전히 멈추지 말고, 복식호흡을 유지하는 것이 주용합니다.
● 내려갈 때 숨을 들이마시고
● 올라올 때 약간 내쉬는 방식으로
호흡을 긴장 속에서도 흐르게 만들어야 뇌혈류가 인정됩니다.


✅ 세트 사이, 고개를 숙이거나 갑자기 일어나지 않기

세트가 끝난 후에는 잠깐 가볍게 제자리 걷기 또는 앉은 채로 호흡 정리하세요.
갑작스러운 자세 변화는 기립성 저혈압과 혈류역학적 불균형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피해야 합니다.


✅충분한 수분 섭취 & 워밍업 필수

탈수 상태에서 운동하면 혈액 점도가 높아져 뇌혈류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
운동 전후로 200-300ml씩 물을 나눠 마시고, 5-10분간의 유산소 워밍업과 가벼운 스쿼트 준비운동으로 혈관과 신경계를 안정시켜주세요.


✅ 세트 구성 시 휴식 간격 조절

세트 간 휴식을 30초 미만으로 너무 짧게 유지하거나, 너무 고중량을 빠르게 반복하면 자율신경계 회복이 어려워집니다.
60-90초의 충분한 회복 시간을 확보하세요 :)

 


결론 : 스쿼트 중 어지러움, 가볍게 넘기지 마세요

스쿼트는 강력한 전신 운동이지만, 동시에 혈압, 혈류, 자율신경계에 큰 영향을 주는 운동입니다.
어지러움은 단순한 피로가 아니라, 몸이 지금 과부하 상태라는 신호일 수 있어요.

운동생리학적으로 이 신호를 이해하고 대응할 수 있다면, 단순한 안전을 넘어서 운동 효율과 회복속도까지 높일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